-
[Python_Algorithm] 다중 루프 알아보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Python/Algorithm 2021. 1. 17. 15:33
단순 반복문이 아닌 반복문 안에 반복문이 들어갈 수도 있다.
# 구구단 곱셈표 출력하기 print('-'*27) for i in range(1,10): for j in range(1,10): print(f'{i*j:3}',end='') print() print('-'*27)
구구단의 알고리즘의 모습은 이렇다.
# 왼쪽 아래가 직각인 이등변 삼각형으로 * 출력하기 print('왼쪽 아래가 직각인 이등변 삼각형을 출력합니다.') n=int(input('짧은 변의 길이를 입력하세요.:')) for i in range(n): for j in range(i + 1): print('*', end='') print() # 행 변경
i는 0에서 부터 시작하므로 *을 출력하는 횟수인 j는 i 보다 1이 + 된 수만큼 출력이 된다.
# 오른쪽 아래가 직각인 이등변 삼각형으로 * 출력하기 print('오른쪽 아래가 직각인 이등변 삼각형을 출력합니다') n = int(input('짧은 변의 길이를 입력하세요,:')) for i in range(n): for _ in range(n-i-1): print(' ', end = '') for _ in range(i + 1): print('*',end='') print()
오른쪽으로 붙이려면 공백이 나오는 부분이 계산되어야 하므로 왼쪽에 붙는 식보다는 복잡하다
for _ in range(n-i-1)을 사용하여 공백을 출력한다.
# 함수 내부.외부에서 정의한 변수와 객체의 식별 번호를 출력하기 n = 1 #전역 변수(함수 내부 외부에서 사용) def put_id(): x = 1 #지역 변수(함수 내부에서만 사용) print(f'id(x) = {id(x)}') print(f'id(1) = {id(1)}') print(f'id(n) = {id(n)}') put_id()
파이썬에서 변수는 객체를 참조하는 객체에 연결된 이름에 불과하다.
모든 객체를 메모리를 차지하고, 식벽 번호를 가진다.
n은 전역 변수이고 x는 지역변수이지만 같은 식별 번호를 가짐을 볼 수 있다
파이썬에서는 함수가 시작하고 종료함에 따라 객체가 생성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.
'Python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_Algorithm]리스트와 튜플 알아보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 (0) 2021.01.23 [python_Algorithm]배열 개념 알아보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 (1) 2021.01.20 [Python_Algorithm]반복문 건너뛰기와 여러 범위 스캔하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 (0) 2021.01.15 [Python_Algorithm]직사각형 넓이로 변의 길이 구하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 (0) 2021.01.12 [Python_Algorithm]양수만 입력 받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 (0) 2021.01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