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/Algorithm

[Python_Algorithm]슬라이스식으로 원소에 접근하기(자료구조와 함께 배우는 알고리즘 입문)

bangle0621 2021. 1. 26. 20:56

슬라이스식으로 원소 꺼내기

슬라이스 : 리스트나 튜플 일부를 일정한 범위와 간격으로 꺼내어 다른 리스트나 튜플을 만드는 것

 

왼쪽부터 차례대로 0부터 시작하여 6번째 인덱스 앞까지 추출된다.

인덱스 0번부터 7번 앞까지 2칸씩의 간격으로 출력된다.

거꾸로된 인덱스로 오른쪽부터 -1부터 시작된다. 

-4와 -2의 앞인 -3까지 출력하여 green과 blue과 출력된다.

 

출력될 내용이 없어서 출력은 안되지만 오류는 나지 않는다.

 

리스트의 원소를 모두 출력한다.
리스트의 맨 앞에서부터 n개를 출력한다.
원소 중에 n번째부터 맨끝까지 출력한다.
오른쪽에서부터 n개까지 출력한다.
맨 앞부터 n개씩 건너뛰며 끝까지 출력
역순으로 원소 출력

뮤터블과 이뮤터블의 대입

동일한 변수 명에 다른 값을 대입했을 때 객체의 식별 번호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. 

누적 변수 n을 1만큼 증가시키니 이 또한 식별번호가 변하였다. 

n의 숫자의 값이 변한것이 아닌 n이 참조하는 곳이 변한것이다. 

파이썬에서는 수나 문자열은 값을 변경할 수 없고 참조하는 곳이 변하게끔 한다.

 

이를 이뮤터블 이라고 부른다.

 

뮤터블 자료형: 리스트, 딕셔너리, 집합 등이 있으며 값을 변경할 수 있다.

이뮤터블 자료형: 수, 문자열, 튜플 등이 있으며 값을 변경할 수 없다. 

 

또한 파이썬에서는 대입 기호 =  을 연산식과 같이 취급하지 않는다.